반응형 웹(Responsive Web)
- 2 mins반응형 웹(Responsive Web)
반응형 웹이란?
다양한 화면의 폭에 따라 유동적으로 레이아웃이 변화하는 웹
-
반응형웹 : 모든 화면에 하나의 템플릿으로 제작
-
적응형웹 : 지원할 디바이스(화면)에 따라 별도의 템플릿 제작
반응형(Responsive)과 적응형(Adaptive)웹 차이
장점
-
간편한 유지보수와 모니터링
반응형 웹은 모바일, 태블릿, 데스크탑 등 모든 디자인을
하나의 HTML
파일과 CSS 파일에서 작업하기 때문에 유지 보수가 훨씬 쉽고 간편하다. -
디바이스 기기 호환성
화면의 폭에 따라 유동적으로 레이아웃이 변경되기에 모든 디바이스 호환 가능하다.
-
검색 엔진 최적화 (SEO(Search Engine Optimize)
반응형 웹으로 만들어진 경우 하나의 주소와 하나의 파일로만 이루어져 검색 결과에 더 잘 노출될수 있고 광고효과를 볼수 있으며 광고비용도 절약할수있다.
단점
-
콘텐츠 한계
화면 크기나 사용자 디바이스에 따라 유동적으로 변하기 때문에 많은 내용이 들어가면 디자인 및 구현의 한계가 있다.
-
로딩 속도
너무 많은 콘텐츠를 불러오려면 로딩 속도가 길어지기 때문에 성능 이슈가 발생하며 이로 인한 사용자 이탈률이 증가할 수 있다.
-
레이아웃 변경의 어려움
기존에 제작한 레이아웃의 변경이 어렵다. 각 해상도 별 분기점을 기준으로 콘텐츠 위치를 잡아두기에 새로운 것을 추가하는 작업 공수가 크다.
이러한 이유로 반응형 웹은 주로 정적인 회사소개 페이지나, 블로그 커뮤니티 등을 포함 할때 제작한다.
기획
-
우선순위 관점 정의
모바일과 데스크탑의 우선순위를 정한다.
데스크탑 환경에 맞춰 제작한 뒤 모바일 환경에 맞게 점진적으로 줄여나가는 것과
모바일 환경에 맞춰 제작한 뒤 데스크탑에 맞게 점진적으로 향상시켜 나가는 것을 비교해 볼수 있다.
방대한 정보를 담고있는 복잡한 레이아웃의 웹사이트는 모바일 사용자에게는 필요이상의 정보와 그에 따른 리딩 및 로딩 시간에 문제가 야기될수 있다.
-
가변 단계 정의
지원할 디바이스 사이즈의 범위를 정하고 그에 따른 가변 단계를 정의해야한다.
(보통 모바일,태블릿,웹 3단계로 구분한다.)
-
반응형이 일어나는 기준 (Breakpoints)
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PC,Tablet,Mobile 해상도이며 사이트에 맞는 기준을 정하면 된다.
-
-
UI 구성 요소 정의
- 이미지 사이즈 규정 : 확대/축소, 행/열 조정
- 폰트 사이즈 규정
- 그리드 규정
- 링크 규정 (새창을 통한 페이지이동,현재창 이동)
- 터치 행위 고려
디자인
-
유동형 그리드(fluid grids)
고정된 px이 아닌 em이나 %를 사용한다.
https://aws-code.d2.co.kr/kaylee/images/mio-design.mp4
-
유연한 이미지(fluid/flexible images)
유동형 그리드와 마찬가지로, 고정된 px이 아닌 em과 %를 이용하는 방법으로, max-width를 100%로, height를 auto로 설정하는 방법으로 화면 폭에 따라 가로/세로 길이가 줄었다 늘어나는 방법
-
반응형 레이아웃(responsive layouts)
마치며
반응형 웹은 하나의 코드로 다양한 디바이스를 호환한다는 장점이 있지만, 그로인해 고려해야할 사항이 많습니다. 각 파트별로 반응형 웹에 대한 개념을 이해하고 반응형 웹이 주는 이점을 효율적으로 사용였으면 합니다.